반응형

최근 미국의 모 은행이 파산는 등의 경제불황이 이어지고있다. 이와 밀접한 용어인 뱅크런와 뱅크럽시에 대해 알아보자.

뱅크런이란?

  뱅크런(bank run)은 은행의 입출금통장을 가진 대규모 고객들이 동시에 예금을 인출하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은행의 현금 보유액이 예금 인출 요구액보다 부족해지게 되어 은행이 파산하는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뱅크런은 대개 은행에 대한 불신이나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의 재정상태가 좋지 않거나, 금리 변동 등으로 인해 고객들이 다른 은행으로 이전하거나 자금을 인출하려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뱅크럽시란?

  은행의 거래 중에 은행이 자산 규모보다 더 많은 손해를 입어 은행이 파산하는 상황을 뱅크럽시(Bankruptcy)라고 합니다.

이러한 뱅크럽시 상황은 은행이 대출 등의 채권을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보통 경제적인 불황이나 금융위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뱅크럽시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2008년 금융위기때 베어스 스텐즈(Bear Stearns) 은행이 경영난에 처해 파산한 사례입니다. 이후에는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 등 다수의 금융기관들이 뱅크럽시 상황에 놓이며, 금융위기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경제적인 충격은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번지며, 다양한 국가의 경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뱅크럽시는 일반적으로 금융시스템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부나 중앙은행은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각종 규제나 금융감독체제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